심야의 번화가에서는 택시 잡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빈 차 들은 많지만 대부분의 택시들이 손님을 골라 태우는 이른바 승차거부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의 과열로 서울에서는 심야시내버스의 운행을 검토하고 있다니 참으로 씁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승차거부의 문제는 이러한 시점까지 왔는데도 택시의 승차 난은 덮어두고 버스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뭔가 순서가 뒤바뀐 듯 싶다.
지금의 심야 택시문제는 이미 사회문제화 된지 오래이다.
매일 들어오는 교통불편 신고 중 절반은 택시의 승차거부에 관한 문제라는데 이렇게 되면 과연 누구를 위해 달리는 택시인가 라는 의구심 마저 품게된다. 승객이 요구하는 장소까지 실어다 줄 책임이 있는 것이 바로 택시인데 이것을 거부한다는 것은 택시 업에 종사한지 않겠다는 뜻과 다름없이 비추어 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로 승객들은 승객들대로 택시기사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만 커져가고 있고 심지어 택시기사와 주먹다짐을 하는 사례도 빈번해 지고 있다. 그러면 사회문제로만 부각된 채 계속해서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없을까?
이러한 문제의 해결로는 말뿐인 무분별한 단속이나 현재의 상태를 외면하고 대안으로 버스를 생각하는 우회적인 전략보다는 좀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완전 월급제 도입 등 택시 기사들의 처우개선과 택시 기사 자격증 취득을 어렵게 해서 사전에 저질 운전사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 택시 기사들의 일방적인 잘못만 거론하는 태도보다는 취해서 부리는 횡포나 "더블"을 외치며 택시 기사를 유혹하는 승객의 자세도 고쳐져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택시 기사들 역시 과연 누구를 위하여 달리는가를 다시 한번 생각 해 보고 자신의 본분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