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지원 필요
지난 4월 20일은 정부에서 지정한 '장애인의 날'이었다. 이 날 ‘제26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각 지역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행사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올해도 어김없이 장애인들의 차별철폐 투쟁이 이어졌다. 이 투쟁의 참가자들은 "장애인의 날이 '사회의 소외 계층인 장애인들을 위로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자'는 정부의 취지로 지정되긴 했지만, 이것은 정부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를 실용성 없는 정책으로 무마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사라지지 않았고, 그들을 위한 시설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정부의 이러한 정책은 그들의 믿음을 얻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로 인해 장애인들은 밖으로 나오기보다 집이나 시설에서 지내는 일이 많다. 그렇다면 이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장 시급한 대책은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및 지원을 갖춰 놓는 일일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장애인 재활시설은 겨우 4곳뿐이며 영화나 뮤지컬이 보고 싶어도 쉽게 관람할 수 있는 시설이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또 사회와 가족에게 외면당한 채 보호받을 시설이 없어 길거리로 내몰리는 장애인들도 있다. 이러한 면에서 정부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없애야 한다. 우리는 장애인을 대할 때 그들이 ‘안 됐다’는 생각에 동정심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마음은 그들에게 더욱 더 상처가 될 뿐이다. 그들이 바라는 것은 동정이 아닌 비장애인과 같은 평범한 대우이다. 그렇다고 그들이 장애를 가진 그 자체까지 무관심해야 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들이 장애인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단지 몸이 불편할 뿐 우리와 다르지 않다는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4월 26일은 정신지체 장애인 엄기봉씨의 실제 사연이 그려진 '맨발의 기봉이'가 개봉되었다. 그로부터 이틀 뒤 노무현 대통령(이하 노 대통령)은 영화배우들과 실제 영화의 주인공을 청화대로 초대해 함께 영화 관람을 했다. 영화 관람 뒤 노 대통령은 "남은 임기기간동안 장애인 지원에 획기적인 토대를 만들겠다"고 뜻을 밝혔다. 이렇듯 최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은 노력과 함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선진국일수록 길거리나 직장에서 장애인과 많이 마주칠 수 있다고 한다. 그만큼 그들이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이 잘 갖춰있고, 사회적 편견도 없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우리나라도 장애인이 비장애인들과 함께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다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