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적인 BJ에 메마르는 Afreeca
자체적인 제도 및 인식개선 필요해
아프리카TV의 선정적·폭력적 콘텐츠에 대해 보다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31일 진행된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을동 새누리당 의원은 "아프리카TV의 부가통신사업자 신고는 미래부에서 받고 있지만 선정적·폭력적 내용과 같은 유해 콘텐츠에 대한 관리감독은 잘 되고 있지 않다"며 "기술적인 차단 조치 등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프리카TV는 누구나 다양한 주제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방송서비스다. 아프리카TV 매출의 75%가 유료 아이템 '별풍선'에서 나온다. 즉 이 서비스는 방송 시청자들이 개당 100원에 거래되는 별풍선을 개인 방송자(이하 BJ)에게 선물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이러한 별풍선 거래 금액은 연간 335억 원에 달한다. 방송을 진행하는 BJ는 더 많은 별풍선을 얻기 위해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내용을 연출하고 있으며, 스포츠 중계도 그대로 방영하는 등 저작권의 위반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모 BJ는 고의로 창문 밖에 의자를 던지는가 하면 자신의 얼굴에 닭볶음탕을 쏟아 붓기까지 했다. 그리고 몇몇 여성 BJ들은 야한 옷을 입고 춤을 추거나 방송수위를 넘어선 선정적인 행동을 한다. 이런 방송들은 아프리카TV에서 제재를 걸기 전 까지는 모든 연령 및 시청자들에게 개방되기 때문에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이 방송들을 볼 수 있다. 만약 이 방송들을 보게 된다면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에게 정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유해함이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아프리카TV는 환전액 수수료 30%를 가져가기 때문에 위 방송들을 사람들이 많이 보게끔 방치해둔다. 만약 처벌을 하더라도 유해콘텐츠를 유통한 BJ에게 7일 이용정지 등 솜방망이 처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강력한 제재를 통해 유해방송을 억제 및 금지 하여야 한다. 현재 아프리카TV 자체적으로 규제를 하고 있지만 방송 후에 일어난 피해에 비하면 아주 약하고 미미한 처벌이다. 따라서 자체 규제 및 처벌 수위를 높이고 방송 전 심의 규정을 준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계획서를 제출하게끔 해야 한다. 아프리카TV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TV를 이용하는 BJ들도 자신들의 방송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인식개선이 어렵겠지만, 마찬가지로 방송 시청자들도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BJ들이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방송을 한다면, 방송 시청자들이 과감히 방송사에 신고할 수 있는 인식을 가져야한다. BJ본인 스스로도 언론활동을 하고 있다고 자부심을 갖고 방송이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닌, 그 여파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방송 시청자들 스스로도 높은 질의 방송과 낮은 질의 방송을 구분하여 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인터넷을 통해 직접 방송을 생산하는 요즘시대, 문명의 이기를 이기답게 사용할 수 있는 문화인이 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더욱 더 풍요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임영수2013.11.20 17:22
13김나래2013.11.20 18:36
09김인환2013.11.28 07:46
12최예빈2013.11.21 01:50
11이혜수2013.11.20 21:44
11김선정2013.11.21 14:50
10최수정2013.11.22 00:00
13홍서라2013.11.21 19:04
북소리2013.12.02 00:25
북소리2013.12.02 00:24
북소리2013.12.02 00:23
북소리2013.12.01 23:14
북소리2013.12.01 23:12
북소리2013.12.01 23:09
북소리2013.12.01 23:07
북소리2013.12.01 23:04
북소리2013.12.01 23:21
북소리2013.12.01 23:19
북소리2013.12.01 23:18
북소리2013.12.01 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