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랬다가 저랬다가
학우들의 권리는 어디로
지난 11월 11일 충남대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해 열린 온택트시대에 맞춰 온라인선거를 처음으로 실시하였다. 온라인선거인만큼 자치기구와 후보자들의 선거 준비 그리고 학우들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과는 처참했다. 충남대 학생회를 더불어 경상대 또한 재투표를 피하지 못하였다. 재투표 결과의 과정은 더 처참했다. 준비되지 않은 후보자가 선거 과정에서 꼼수를 부렸지만, 그 꼼수의 결과는 재투표였던 것이다. 선거 과정에서 무슨 문제점이 있을까?
첫 번째, 독단적인 당일 단서조항 변경이다. 학우들의 의견 없이 투표를 이미 마친 학우가 있음에도 조항을 추가하는 결정을 내렸다. 선거기구는 단서조항 추가 이전에 이루어진 투표는 어떻게 되는지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아지자 단서조항의 추가는 취소하였다. 이러한 선거기구 결정과 번복은 학우들의 권리를 무시하는 것이며, 기구가 가져야 할 투명함을 낮추는 것이다. 두 번째, 단대의 자율결정이다. 총대 선거에 관한 단서조항 취소공지는 내려졌지만, 단대의 경우 단대의 논의 하에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오히려 학우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경상대의 경우 논의공지를 정확하게 내리지 않았다. 학우들은 총대와 단대의 다른 결정과 번복으로 투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없이 투표하는 꼴이다. 선거에서 정확한 정보 제공은 기본이다. 세 번째, '투표율 저조'를 예측하지 못한 점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시행되는 온라인선거의 경우 기존 선거보다는 학우들의 인식이 충분히 낮을 수 있다. 이것을 예측하지 못한 것은 선거기구의 기능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투표율 저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했다. 더 나아가 후보자들은 공약이 학우들에게 그만큼 관심이 가져지지 않음에 자신들의 공약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선거는 선거기구를 더불어 모두의 부족함이 드러나는 선거였다. 선거의 목적은 학우들을 위한 대표자 선출하는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학우들의 권리가 묵인된 것에 대해 선거 기구는 본 기구의 목적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재투표 비용과 비용지불의 출처를 공개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투표율 저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우들은 '투표율 저조'에 대하여 반성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권리를 행사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 문제는 많았다. 부끄러운 역사가 다시 반복되는 것을 우리는 막아야 한다.
고다희 기자
북소리2020.12.23 23:02
북소리2020.12.23 22:59
북소리2020.12.23 22:57
북소리2019.12.24 14:00
북소리2019.12.24 13:57
북소리2019.12.24 13:50
북소리2019.11.01 20:36
북소리2019.11.01 20:33
북소리2019.11.01 20:25
북소리2019.05.30 23:44
북소리2019.05.30 23:43
북소리2019.05.30 23:42
북소리2019.05.30 23:42
북소리2019.05.30 23:41
북소리2019.05.30 23:41
북소리2019.05.30 23:38
북소리2019.05.30 23:36
북소리2019.05.30 23:35
북소리2019.05.30 23:34
북소리2018.10.30 17:31